2023년 5월 16일 화요일 매일경제, 한국경제 요약
오늘의 3가지 뉴스
[기업]📌 1. '삼성전자 전용 챗 gpt' 네이버와 공동개발… 첨단 반도체 설계에 활용
[사회]📌 2. 전기·가스료 결국 인상 (4인 가구 월 7450원 더 냄)
[국제]📌 3. 그리스, 10년 만에 '유럽 문제아' 탈출…GDP대비 부채 11년래 최저
& 한 줄 뉴스
- 매일경제, 인도네시아 글로벌 포럼 개막
- 또다시 미뤄진 국가재정법 개정안 처리 - 재정준칙 도입 및 재정건전성 강화에 대한 논의는 뒷전으로..
- '한미 금리 역전' 3번 잘견뎠지만 … 4번째는 '외줄타기' (→ 글이 좋아서 필사 예정)
[기업]📌 1. '삼성전자 전용 챗 gpt' 네이버와 공동개발… 첨단 반도체 설계에 활용
- 네이버클라우드+삼성전자 DS(반도체) 부분 임직원 전용 네이버 챗GPT 개발 중으로 올해 4분기 출시 예정
- 국내 기업용 AI서비스의 최초 사례로, 향후 네이버는 글로벌 기업을 고객사로 확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음
- 이외, 삼전&네이버 인공지능 반도체 개발 협력 중 (지난해 12월 MOU 체결 및 TF 출범/엔비디아 대항마로 개발 중)
💫지금은 글로벌 AI 생태계 기술 전쟁 ING...
- 구글의 AI 챗봇 '바드'는 영어 다음 2번째로 지원되는 언어를 '한국어'로 선택했다. (3번째는 일본어)
- 생성형 AI산업의 특징은 학습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으로, 먼저 출시하여 데이터를 쌓을수록 선점 가능

plus.hankyung.com/apps/newsinside.view?aid=2023051438501&category=NEWSPAPER&sns=y
[단독] 네이버와 손잡은 삼성전자…'삼성 전용 챗GPT' 만든다
삼성전자가 네이버와 함께 반도체(DS)부문 임직원 전용으로 ‘챗GPT’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이 서비스가 나오면 DS부문 임직원들은 기밀 유출 걱정 없이 AI 챗봇 등을...
plus.hankyung.com
[사회]📌 2. 전기·가스료 결국 인상 (4인 가구 월 7450원 더 냄)
- 5월 16일, 산업통상자원부 전기·가스 전기요금 조정안 발표로 아래와 같이 인상
- 4인 가구 한 달 평균 전력사용량 332kwh 기준, 3,020원 인상 (반영 시 월 66,590원)
- 4인 가구 한 달 평균 가스사용량 3861MJ 기준, 4,431원 인상 (반영 시 월 89,074원)
구분 | 현행안 | 조정안 | 비고 |
전기요금(kwh) | 146.6원 | 154.6원 | 8원 / 5.4%인상 |
도시가스요금(MJ) | 19.69원 | 20.73원 | 1.04원 / 5.3% 인상 |
💭문득 궁금해진다.. 우리나라와 소득수준이 비슷한 나라의 전기요금과 도시가스요금은 얼마나 차이가 날까?
LNG 도입 시 현재 어느정도의 가격으로 Spot시장에서 거래가 되는지 알고 있기에.. 현재 가스공사에서 도입하고 있는 가스가격 자체가 비싼 것 같다. 공공요금의 가격인상으로 인플레이션을 촉발시키는 것은 아닌지.
4인 가구 月7450원 더 낸다 - (mk.co.kr)
https://www.mk.co.kr/news/economy/10736695
전기·가스료 폭풍상승에…올여름 '냉방비 대란' 우려 - 매일경제
1년 반만에 가파르게 상승주춤했던 물가 또 자극할듯
www.mk.co.kr
4인 가구 月7450원 더 낸다 - 매일경제
전기·가스료 결국 인상
www.mk.co.kr
[국제]📌 3. 그리스, 10년만에 '유럽 문제아' 탈출…GDP대비 부채 11년래 최저
- 만성 재정적자, 국가부도, 유로존 탈퇴 위기까지 몰렸던 그리스 경제가 중환자실에서 벗어났다
- 2019년 급진 좌파→중도우파로 정권교체 후 강력한 긴축정책 추진의 효과로 보임 (무상의료, 최저임금, 연금제도 완전 개편)
- 국가신용등급 현재 정크 등급인 BB+ (가장 낮은 단계임;)에서 투자적격 등급인 BBB-로 상향 조정될 전망
- 최근 2년간 명목 GDP 25% 증가 / 부채는 4% 증가 - 현재 GDP 대비 정부부채비율 171%로 2012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
💭기사를 보니 문득 국가별 GDP 대비 정부 부채비율의 순위가 궁금해져 검색해봤다. (2022-12 기준)
1위는 일본 264% / 2위 베네수엘라 241% / 3위 수단 181% / 4위 레바논 172% / 5위 그리스 171%
대한민국은 49.6%였고 / 미국은 129% / 중국 76.9% / 싱가포르는 160% 로 나왔다.
(나머지 국가가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 참조하세요)
https://ko.tradingeconomics.com/country-list/government-debt-to-gdp?continent=g20
포퓰리즘 버린 그리스, 10년 만에 '유럽 문제아' 탈출 - 매일경제 (mk.co.kr)
포퓰리즘 버린 그리스, 10년만에 '유럽 문제아' 탈출 - 매일경제
우파 집권 4년간 뼈깎는 긴축무상의료·최저임금 '대수술'GDP대비 부채 11년래 최저유로존 평균 성장률 웃돌 듯S&P 경제전망 '긍정적'으로정크 → 투자적격 상향 기대
www.mk.co.kr
'경제신문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2023년 외인의 Buy Korea, 11조 순매수로 역대 최대 (0) | 2023.05.22 |
---|---|
[2023. 05. 17. 경제기사 요약] 윤대통령 간호법에 제동 걸어 등 (0) | 2023.05.17 |
[2023.05.11 경제기사 요약] KDB산업은행 건전성, 23년만에 최악 등 (0) | 2023.05.11 |
[2023.05.09 경제기사 요약] 원자재 허브로 뜨는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시장 등 (2) | 2023.05.09 |
[2023.05.08 경제기사 요약] 애플 인도매출 역대 최대 기록 등 (0) | 2023.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