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5월 1일 (월)
📌 1. 달러 약세인데 원화도 약세인 이상 현상이 두 달 째 이어지고 있음 (통상 경제학 이론에서는 달러 약세 => 원화 강세)
이유: 반도체 수출 부진(전년대비 40%하락-수요,가격 동시 하락), 한국 수출품 경쟁력 약화->13개월 연속 무역수지 악화
📌 2. 주말까지 퍼스트리퍼블릭 은행 인수 관련, 대형 은행 인수 의향서 접수 예정
📌 3. 대법원에서 사기업 복지포인트 근로임금 제외 판정에도 국세청 계속 소득세 부과하여 이슈되고 있음.
웃긴 게 공무원 복지포인트는 또 소득세 부과하지 않고, 건강보험과 연금 등 사회보험금 산정 시에도 모두 제외 => 조세 평등주의에 위배되는 것 아닌가? 공무원은 세금 안 내고, 근로자는 세금 내고?
1. 한국경제 약점 드러났다, 원화값 이례적 역주행
- 1분기 대중 수출, 한국이 가장 많이 줄었다.
http://plus.hankyung.com/apps/newsinside.view?aid=2023043039731&category=NEWSPAPER&sns=y
원화 가치 하락률, 페소·루블 이어 3위
4월에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 하락률이 주요 26개 통화 중 세 번째로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원화가 다른 통화 대비 약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30일 서울외환시장에 따르면 지난 28일 미
plus.hankyung.com
http://plus.hankyung.com/apps/newsinside.view?aid=2023043040031&category=NEWSPAPER&sns=y
1분기 對中 수출, 한국이 가장 많이 줄었다
지난 1분기 한국의 대중국 수출이 미국, 대만, 일본 등 주요국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 품목인 반도체 수출이 부진한 데다 중국에서 한국 수출품의 경쟁력이 점점
plus.hankyung.com
https://digital.mk.co.kr/news_link.php?year=2023&no=333057
韓경제 약점 드러났다 원화값 이례적 역주행 - 매일경제
최근 석달간 8.3% 하락日·中 16개국 중 최대 낙폭13개월 연속 무역적자 영향
www.mk.co.kr
https://digital.mk.co.kr/news_link.php?year=2023&no=332970
속수무책 원화약세 … 기업들 "중간재 수입 늘어 팔수록 손해" - 매일경제
韓기업 수익성 악화 '비상'…이번주 FOMC에 촉각세계 불황에 수출 고꾸라지고한미 금리차 커지며 외화 유출4월 배당금 송금 28억弗 달해컴퓨터·전자·광학기기 업종수입 중간재 비중 53% 넘어원화
www.mk.co.kr
https://digital.mk.co.kr/news_link.php?year=2023&no=332971
원화 약세때 오히려 수출 줄어…원화값 하락 자극 '악순환' - 매일경제
'강달러 = 수출증가'는 옛말달러값 오르면 자금 조달 위축원화값 하락률 1%P 커질때수출 증가율은 0.36%P 감소
www.mk.co.kr
2. 퍼스트리퍼블릭발 은행 위기 재점화 - 금리 결정 앞둔 Fed '골머리'
http://plus.hankyung.com/apps/newsinside.view?aid=2023043039741&category=NEWSPAPER&sns=y
퍼스트리퍼블릭發 은행 위기 재점화…금리 결정 앞둔 Fed '골머리'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이 파산한 지 한 달여 만에 또 다른 중소 은행인 퍼스트리퍼블릭은행도 붕괴 위기에 놓였다. SVB 사태 여파로 예금이 대규모로 빠져나가면서다. JP모간체이스, PNC파이낸
plus.hankyung.com
https://digital.mk.co.kr/news_link.php?year=2023&no=332934
美퍼스트리퍼블릭 '운명의 날'…"JP모건도 인수전 참여" - 매일경제
'14위' 은행 파산·매각 갈림길연방예금보험공사 긴급 입찰대형銀 6곳 인수전 참여 검토지난달 1000억弗 뱅크런에주가 일주일 새 75% 폭락
www.mk.co.kr
https://digital.mk.co.kr/news_link.php?year=2023&no=332984
[매경데스크] 규제·감독 모두 실패한 CFD - 매일경제
2년전 아케고스 사태 때CFD 엄격히 규제했어야시장 자율에 맡겼다면감시라도 제대로 했어야
www.mk.co.kr
3. 공무원 복지포인트는 비과세 - 명백한 차별
http://plus.hankyung.com/apps/newsinside.view?aid=2023043039461&category=NEWSPAPER&sns=y
"공무원은 세금 안 떼면서 회사원만 차별"…'줄소송' 이유는?
임직원에게 지급한 복지포인트에 세금을 부과한 과세당국을 상대로 기업들의 반환 소송이 줄을 잇고 있다. 기업이 임직원을 대신해 근로소득세 명목으로 원천징수한 세금을 돌려달라고 나선
plus.hankyung.com
'경제신문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5.03 경제기사] 6억 이하 1주택자 재산세 낮춘다 등 (0) | 2023.05.03 |
---|---|
[2023.05.02 경제기사] 벼랑 끝 서민…30일 단기연체자 2배 넘게 급증 등 (0) | 2023.05.02 |
[2023.04.28 한경 매경 요약] 삼성 감산, 미국 GDP 1.1%, 싱가폴 60% (0) | 2023.04.28 |
[2023.04.27 경제신문 요약] NCG(핵협의) / 복수의결권 / 가계신용 위험 (0) | 2023.04.27 |
[2023.04.26 경제신문 요약] 압구정 / 현대차 / 포스코 (0) | 2023.04.26 |